광주 일제강제동원피해자고발대회 개최

28일 광주독립영화관에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의 <피해자고발대회>가 열렸다. 대회는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광주시가 공동주관해 강제징용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개최됐다. 유족 5명과 시민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유족들은 어릴적 자신이 기억하는 가족모습과...

첫 〈미, 핵사용시 일과 의사소통〉 명문화

29일 요미우리신문은 미국과 일본이 동맹조정매커니즘(ACM)을 활용해 유사시 미의 핵사용에 대해 의견을 전달할수 있다는 내용의 지침을 명문화했다고 보도했다. ACM은 2015년 미일방위협력지침개정 당시 유기적 안보협력을 위해 설치됐다....

일본, 강제징용도 모자라 조선인인육까지 먹여

일본이 태평양전쟁시기 남태평양마셜제도로 조선인을 강제징용한후 대량학살한 사실이 밝혀졌다. 1942년 조선인2400명을 태운 배가 마셜제도<밀리환초>로 이동했다. 배에는 전남지역에서 강제동원된 800명도 타고 있었다. 이들은 밀리환초 비행장활주로공사, 방공호구축 등에...

기시다, 야스쿠니신사에 공물 봉납 … 일의원 87명 집단참배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가 태평양전쟁 A급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또다시 공물을 봉납했다. 일본의원 87명도 야스쿠니신사에 집단참배했다.  21일 기시다총리는 내각총리대신 명의로 야스쿠니신사의 봄제사인 춘계예대제 시작에 맞춰 공물인 마사가키를 봉납했다. 참배는...

반일행동 토요투쟁 〈윤석열타도 없이 역사도 평화도 지킬수 없어〉

17일 옛일본대사관앞 소녀상에서 반일행동이 주관하는 310차 토요투쟁이 진행됐다. 이날 집회에서는 반일행동회원들의 문화공연과 공동체퀴즈 등도 이어졌다.  사회자는 한주간의 농성소식을 전하며 <이번주 시민들의 발걸음도 계속 이어졌다>며 <시민분들의...

일해상막료장 〈초계기갈등 재발방지 합의문 조정중〉

한일정부가 <2018 초계기사건>과 관련해 재발방지책을 정리한 합의문서를 작성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일본해상자위대의 사카이료해상막료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한일정부가 재발방지책을 정리한 합의문서의 책정을 위해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체로...

일사도광산〈추도식〉사태 … 여야 〈외교참사〉〈협상실패〉

최근 일본 사도광산<추도식>사태를 주제로 28일 열린 국회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여야의원들이 윤석열정부를 향해 외교참사, 협상실패라고 질타했다. 조태열외교부장관은 사퇴를 포함해 어떤 책임도 지겠다고 밝혔다. 윤상현국민의힘의원은 사도광산<반쪽추도식>과 2015년 군함도의 세계문화유산등재...

국민의힘 하태경 망언 〈이제는 욱일기와 화해할 때〉

하태경국민의힘의원이 욱일기를 단 일본해상자위대 호위함의 부산항입항에 대해 <이제는 욱일기와 화해할 때>라는 망언으로 국민적 공분을 사고있다.  30일 오전 하의원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셔틀외교까지 하는 상황에서...

오염수 1차분 7800t 방류완료 … 2차는 추석연휴기간 

일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제1원자력발전소오염수의 1차방류분 7800t을 11일 모두 바다로 흘려보냈다. 이날 교토통신과 현지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오후 1시께 시작된 오염수방류 1회차는 11일 낮 12시15분께 종료됐다. 도쿄전력은...

기시다, 내년 1월 첫 방미 추진중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가 내년 1월 방미해 조바이든미국<대통령>과 회담하는 일정을 조율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교도통신은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기시다총리가 내년 1월 7일에서 9일즈음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바이든<대통령>과 회담하는 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