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항공자위대 등 주요방위거점 지하이전 예정 … 대만전 염두
일본방위성이 중국의 무력행사를 염두해 항공자위대기지 등 주요방위거점을 지하로 이전한다.
3일 닛케이신문은 일방위성이 자위대사령부 등 14개방위거점을 지하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방위성은 중의 대만공격을 염두에 두고 공격대상이 될수...
한·일, 양국통화가치하락 공동대응 논의
25일 한·일 재무장관회의에서 원화와 엔화의 가치동반하락에 대한 우려가 공유됐다.
양국의 재무장관들은 양국통화가치하락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해나가기로 논의했다.
최근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환율방어에...
〈일본이 거부하는 배상, 대신하겠다는 한국정부〉… 법원에서 줄줄이 기각
21일 대법원이 일제강점기강제징용노동자에 대한 전범기업의 배상책임(강제징용 2차 소송)을 인정했지만, 일본정부는 <1965년 청구권협정으로 끝난 얘기>라며 수용불가입장을 밝혔다.
이날 임수석외교부대변인은 <이번에 승소한 피해자들에게도 제3자변제안이 적용되느냐>는 질문에 <제3자변제해법을...
한일정상회담 16일 열려 … 조러협력규탄·한일협력강조
16일 한일정상회담이 열렸다.
윤석열대통령은 첫 회담후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이 <북한군파병>으로 이어지는 등 역내 및 세계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며 한일 간의 긴밀한 공조가 그...
기시다, 아베파 〈비자금 의혹〉 등으로 내년 남미순방 취소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가 내년 초 예정됐던 남미순방을 취소할 방침이다.
22일 일본매체 아베마타임스는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기시다총리가 내년 1월 9~10일 남미방문을 보류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당초 기시다총리는 2024년 주요20개국(G20) 의장국인 브라질과...
방한 기시다, 과거사문제 망발 .. 사과·정부입장 아닌 〈사건〉
6일 방한한 기시다일총리는 과거사문제에 대해 망발했다.
기시다는 과거사문제에 대해서 1998년 한일파트너십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공동선언)을 포함한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강제징용문제와 관련해서는 <사견>임을 강조하면서...
반일행동수요문화제 〈〈사법쿠데타〉는 내전의 징후〉
반일행동은 7일 옛일본대사관앞 소녀상에서 <친일내란무리청산! 내전책동분쇄!> 수요문화제를 진행했다.
반일행동들불팀이 여는율동으로 <꿈찾기>를 췄다.
이어 1주간농성소식을 전한뒤 발언이 이어졌다.
반일행동회원은 내란무리들이 어떻게든 전세를 뒤집으려 대법원<사법쿠데타>까지 일으키며 미쳐날뛰고 있다면서 <6만장이...
일자위대, 올해부터 일본내 지대함미사일발사연습 실시
10일 NHK보도에 따르면 일육상자위대가 올해부터 지대함미사일발사연습을 일본내에서 실시한다.
연습은 여름부터 태평양을 접한 훗카이도 신히다카초의 사격장에서 시작될 계획이다.
그동안 육상자위대는 충분한 사거리를 확보한 안전한 장소를 찾지 못해...
일본, 미국에 패트리엇 수출 … 살상무기 완성품 최초
일본이 무기수출규정을 개정, 자국에서 생산한 패트리엇을 미국에 처음 수출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패트리엇 방공미사일 재고를 보충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일 7광구공동개발 논의 시작
27일 한국·일본은 <양국에인접한대륙붕남부구역공동개발에관한협정>의 제6차공동위원회를 열어 <7광구>공동개발논의를 진행한다.
한·일은 7광구공동개발협정을 1974년에 체결했다. 이후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1978년 6월 발효된 협정은 2028년 6월 50년의 유효기간이 끝난다.
만료 3년전부터는 일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