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범기업 자산매각 이르면 다음주 결정 … 피해자측 불참속 〈반쪽짜리〉 파행운영
9일 외교부에 따르면 미쓰비시 강제징용피해자 김성주할머니의 상표권·특허권 특별현금화명령사건을 심리중인 대법원 민사3부는 오는 19일전까지 심리불속행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심리불속행은 대법원이 추가적인 심리없이 상고를 기각하는 것이다. 상고가 제기된지...
일본원자력규제위, 후쿠시마오염수해양방류 승인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가 후쿠시마제1원전 방사성오염수의 일방적인 해양방류계획을 승인했다.
18일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는 도쿄전력이 일본정부방침에 따라 책정한 오염수해양방류계획에 대한 안전심사를 마치고 심사서안을 정리작성했다. 심사서안은 사실상 심사에 대한 합격증과 같다.
일본정부는 작년...
반일행동 〈역사문제해결 없이 한·미·일군사동맹강화에 골몰하는 친일매국 윤석열무리를 하루빨리 청산하자!〉 논평발표
6일 반일행동은 일본대사관앞소녀상에서 논평 <역사문제해결 없이 한·미·일군사동맹강화에 골몰하는 친일매국 윤석열무리를 하루빨리 청산하자!>를 발표했다.
논평은 <4일 강제징용문제를 졸속적으로 합의하기 위한 민관협의회가 시작됐다. 1차회의에서는 <강제징용문제해법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일본, 5년간 40조엔 넘는 방위비 확보 검토중
일본정부가 2023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부터 5년간 40조엔(약397조원)이 넘는 방위비를 확보할 것을 염두하고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과 북의 핵·미사일위협대응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방위력의 근본적...
강제징용 민관협 2차회의 진행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불참〉 선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피해자배상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민관협의회의 2차회의가 열렸다. 회의에 앞서 미쓰비시중공업의 강제징용피해자가 속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소송대리인단은 민관협의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4일 외교부 주도의 강제동원피해자배상문제해결민관협의회는 이날 2차회의를 가졌다....
일본, 또다시 강제징용피해자 모욕 … 후생연금탈퇴수당 99엔 지급
일본이 또다시 일제강제징용피해자들을 모욕했다. 피해자들이 강제징용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당시 가입했던 후생연금탈퇴수당을 신청한 데 대해 일본이 1000원도 되지 않는 금액을 보내온 것이다.
3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최근 일본연금기구가...
강제징용피해자지원단체, 윤덕민 발언 〈한국대사인지 일본대사인지 모르겠다〉
윤덕민주일한국대사가 한일관계개선을 위해 우선 대법원판결에 따른 일본전범기업의 한국내자산 특별현금화절차를 동결해야 한다고 주장한 가운데 강제징용피해자지원단체가 비판성명을 냈다.
지난 8일 윤대사는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현금화를 통해 피해자분들이 충분한...
기시다, 내년 1월 첫 방미 추진중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가 내년 1월 방미해 조바이든미국<대통령>과 회담하는 일정을 조율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교도통신은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기시다총리가 내년 1월 7일에서 9일즈음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바이든<대통령>과 회담하는 방향으로...
일언론 〈한미일, 이달 중순 동남아서 정상회담개최 조율중〉
한국과 미국, 일본이 이달 중순 동남아시아에서 열리는 국제회의를 계기로 3국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요미우리신문, 교도통신 등은 일본정부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북이 탄도미사일을...
일본, 난세이제도에 미사일 배치
일본자위대가 난세이제도에 미사일부대를 속속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동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활동을 경계하겠다는 것이다.
2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지난 3월 이시가키지마에 신설한 육상자위대기지에 12식지대함유도탄 등 미사일부대를 주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