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원자력규제위, 후쿠시마오염수해양방류 승인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가 후쿠시마제1원전 방사성오염수의 일방적인 해양방류계획을 승인했다.
18일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는 도쿄전력이 일본정부방침에 따라 책정한 오염수해양방류계획에 대한 안전심사를 마치고 심사서안을 정리작성했다. 심사서안은 사실상 심사에 대한 합격증과 같다.
일본정부는 작년...
반일행동 〈역사문제해결 없이 한·미·일군사동맹강화에 골몰하는 친일매국 윤석열무리를 하루빨리 청산하자!〉 논평발표
6일 반일행동은 일본대사관앞소녀상에서 논평 <역사문제해결 없이 한·미·일군사동맹강화에 골몰하는 친일매국 윤석열무리를 하루빨리 청산하자!>를 발표했다.
논평은 <4일 강제징용문제를 졸속적으로 합의하기 위한 민관협의회가 시작됐다. 1차회의에서는 <강제징용문제해법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제주평화나비, <국가정보원규탄! 한일합의폐기!> 릴레이1인시위전개
제주평화나비(일본군<위안부>문제의진정한해결을위한청소년·대학생·청년네트워크제주평화나비)는 지난 19일부터 7일간 제주시청옛버스정류장앞에서 2015한일합의에 개입한 국가정보원을 규탄하고 이에 대한 진상규명과 2015한일합의폐기를 촉구하는 릴레이1인시위를 진행했다.
이들은 <최근 MBC방송을 통해 박근혜정부의 국가정보원이 한일<위안부>합의과정에서 일본극우세력과 결탁했다는...
일본, 5년간 40조엔 넘는 방위비 확보 검토중
일본정부가 2023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부터 5년간 40조엔(약397조원)이 넘는 방위비를 확보할 것을 염두하고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기시다후미오일본총리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과 북의 핵·미사일위협대응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방위력의 근본적...
정의연, 수요시위 훼방 극우단체에 법적대응
정의연(정의기억연대)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이 극우단체회원·유튜버들을 상대로 법적대응에 나섰다.
16일 정의연과 천주교여자수도회장상연합회 등은 수요시위방해 및 일본군성노예제피해자모욕 등 혐의로 이우연낙성대경제연구소연구위원, 김병헌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상진자유연대사무총장, 주옥순엄마부대대표 등 10명과 성명불상자 1명을 서울...
31일 다국적훈련에 〈욱일기 게양한 자위대함정 부산항 입항 조율중〉
한국정부와 일본정부가 이달말 실시되는 한국주최 다국적훈련에 일본해상자위대호위함이 욱일기를 게양한 채 부산항에 입항하는 방향으로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30일~6월2일 제주도에서 개최되는 <PSI(확산방지구상)20주년 고위급회의>를 계기로 한미일3국을 비롯해 호주,...
강제징용 민관협 2차회의 진행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불참〉 선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피해자배상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민관협의회의 2차회의가 열렸다. 회의에 앞서 미쓰비시중공업의 강제징용피해자가 속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소송대리인단은 민관협의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4일 외교부 주도의 강제동원피해자배상문제해결민관협의회는 이날 2차회의를 가졌다....
일본, 또다시 강제징용피해자 모욕 … 후생연금탈퇴수당 99엔 지급
일본이 또다시 일제강제징용피해자들을 모욕했다. 피해자들이 강제징용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당시 가입했던 후생연금탈퇴수당을 신청한 데 대해 일본이 1000원도 되지 않는 금액을 보내온 것이다.
3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최근 일본연금기구가...
강제징용피해자측 〈대법원, 외교부의 일방적·편파적 의견서에 흔들려서는 안돼〉
강제징용피해자지원단체들이 대법원의 특별현금화명령을 신속히 판결해줄 것을 촉구했다.
11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관주전남지부는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미 원고 3명은 사망하고 생존자 2명 또한 오늘내일을 알수 없는 처지>라며 <대법원은...
일본, 난세이제도에 미사일 배치
일본자위대가 난세이제도에 미사일부대를 속속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동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활동을 경계하겠다는 것이다.
2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지난 3월 이시가키지마에 신설한 육상자위대기지에 12식지대함유도탄 등 미사일부대를 주둔시켰다....